출처 : http://www.ibm.com/developerworks/kr/series/web/index.html
아래 내용은 위 출처의 기사의 일부를 복사 후 편집/수정한 것입니다.
단순히 개인적으로 알고자하는 내용만을 남긴 것이니, 자세한 정보는 위의 출처를 참조하세요.
Ajax 애플리케이션에서, 송신 데이터 포맷으로서 XML을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서버에서 XML을 클라이언트로 보내야 하는 이유는 충분하다.
클라이언트는 이름/값 쌍으로 말한다.
클라이언트는 대부분의 경우에 XML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이름값 쌍을 사용하여 요청을 보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이름을 보내게 된다: name=jennifer. 또한 이어지는 이름값 쌍들은 앰퍼샌드(&)를 사용하여 추가할 수 있다: name=jennifer&job=president. 간단한 텍스트와 이러한 이름값 쌍을 사용하면, 클라이언트는 여러 값을 가진 요청을 서버로 쉽게 보낼 수 있다. XML이 제공하는 추가 구조(오버헤드)가 필요 없다.
사실, XML을 서버로 보내야 하는 대부분의 이유들이 다음 두 개의 범주로 나뉠 수 있다.
* 서버는 XML 요청을 수락하기만 한다. 이 경우, 선택권이 없다. 지난 달 기술자료에서, 이러한 유형의 요청들을 보낼 때 필요한 모든 툴을 제공했다.
* XML 요청이나 SOAP 요청만 수락하는 원격 API를 호출할 경우. 이것은 매우 특별한 케이스이지만, 짚고 넘어가야 한다. 비동기식 요청에서 Google이나 Amazon에서 API를 사용할 경우, 특별히 고려해야 할 것이 있다. 다음 달 기술자료에서 API로 요청하는 문제를 예제를 통해 설명하겠다.
서버는 (표준 방식으로) 이름값 쌍을 보낼 수 없다.
서버가 name=jennifer&job=president 스트링으로 애플리케이션에 응답한다면, 클라이언트는 두 개의 이름값 쌍을 나누고, 각 쌍을 이름과 값으로 나눌 표준화 된 쉬운 방법이 없다. 리턴된 데이터를 직접 파싱해야 할 것이다. 서버가 이름값 쌍으로 구성된 응답을 리턴하면, 응답은 세미콜론, 파이프 심볼, 기타 비표준 포맷팅 문자로 구분된 엘리먼트를 가진 응답만큼이나 해석하기 어렵다.
응답에 플레인 텍스트를 사용하고, 적어도 응답에 여러 값이 포함되어 있을 때, 클라이언트가 그 응답을 받아서 표준 방식으로 인터프리팅 해야 하는 쉽지 않은 방식이다. 서버가 넘버 42를 보냈다면, 플레인 텍스트로도 충분하다. 하지만, TV 쇼 Lost, Alias,, Six Degrees,의 최근 시청률을 보냈다면? 여러분은 플레인 텍스트를 사용하여 이 응답을 보낼 많은 방법들을 선택할 수 있지만(Listing 1), 클라이언트에 의한 작업 없이는 쉬운 인터프리팅 방법이 없고, 표준화된 방법도 없다.
싱글 스페이스(single space)!
대부분의 HTTP 요청에서, %20은 싱글 스페이스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Live Together, Die Alone"이라는 텍스트는 Live%20Together,%20Die%20Alone 형태로 HTTP로 보내진다.
이러한 응답 스트링들을 나누는 방법을 알아내는 것이 어려운 일은 아니지만, 클라이언트는 세미콜론, 등가 표시, 파이프, 앰퍼샌드에 따라 스트링을 파싱하고 나누어야 한다. 이는 다른 개발자들이 쉽게 이해하고 관리할 수 있는 강력한 코딩 방법이 아니다.
XML
이름값 쌍으로 서버가 클라이언트에 응답하는 표준 방법이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면, XML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가 분명해진다. 데이터를 서버로 보낼 때, 이름값 쌍은 최상의 선택이다. 서버와 서버 측 언어는 그 쌍들을 쉽게 인터프리팅 할 수 있기 때문에다. 마찬가지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로 리턴할 때 XML을 사용하면 일이 쉬워진다. 이전 기술자료들에서 XML을 파싱할 때 DOM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다루었고, 앞으로의 기술자료에서는 JSON이 XML을 파싱하는 옵션을 어떻게 제공하는지를 설명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여러분은 XML을 플레인 텍스트로서 취급할 수 있고, 이러한 방식으로 값을 얻어낼 수 있다. 따라서, 서버에서 XML 응답을 얻을 수 있는 여러 가지 방식이 있고, 매우 표준적인 방식으로 클라이언트에 있는 데이터를 가져다가 사용할 수 있다.
서버에서 XML 받기
서버에서 오는 XML 응답을 두 가지 기본 방식으로 취급할 수 있다.
* XML로 포맷팅 되는 플레인 텍스트
* DOM Document 객체로 나타나는, XML 문서
XML을 플레인 텍스트로서 처리하기
마치, 서버가 비 XML 응답을 보낼 때처럼, 요청 객체의 responseText 속성을 사용한다
updatePage()는 콜백이고, request는 XMLHttpRequest 객체이다. 모든 것이 response 변수 안에 이어진 XML 응답이 될 것이다. 이 변수를 프린트하면,
서버는 스페이스와 캐리지 리턴으로 XML을 포맷팅 하지 않는다. 단지 하나로 연결할 뿐이다. 물론, 애플리케이션은 스페이싱(spacing)에 대해서 신경 쓰지 않는다. 다만 읽기가 힘들어질 뿐이다.
이때, JavaScript split 함수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나누고, 기본 스트링 조작을 통해서 엘리먼트 이름과 값을 얻을 수 있다. 물론, 이것은 엄청난 작업이고, 이전 시리즈에서 다루었던 DOM(Document Object Model)을 보는데 많은 시간을 보내야 한다. DOM을 사용할 수 있다면, 이러한 방식을 사용하여 XML 데이터를 얻어서는 안된다.
XML을 XML로 취급하기
JavaScript와 XMLHttpRequest 객체는 서버의 XML 응답을 완벽하게 얻고 이것을 DOM Document 객체 폼으로 얻을 수 있는 속성을 제공한다.
콜백이 responseXML 속성을 사용한다. XMLHttpRequest에 사용할 수 있는 이 속성은 DOM 문서의 형태로 서버 응답을 리턴한다.
DOM Document가 생겼으니, 다른 XML처럼 작업할 수 있다.
모든 show 엘리먼트 얻기
모든 show 엘리먼트들을 통해 반복하기
XML을 인터프리팅 하는 기타 옵션
XML을 다루는 한 가지 매우 일반적인 옵션들은, 포맷팅 되지 않은 텍스트로서 취급하는 것 또는 DOM을 사용하는 것 이상으로 중요하다. 이것이 바로 JSON, (JavaScript Object Notation)이고, JavaScript에 포함된 무료 텍스트 포맷이다.
일반적으로, JSON을 사용하여 할 수 있는 모든 것은, DOM을 사용해서도 할 수 있다.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이것은 선호도의 문제이고,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알맞은 방식을 선택하는 문제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XML이 자신의 애플리케이션에 잘 맞는지를 생각하는 것이다. 많은 경우, 애플리케이션이 잘 작동한다면, XML은 그냥 유행어에 지나지 않고, XML을 사용해야 할 것 같은 유혹과 싸워야 한다. 서버가 보내는 데이터가 제한되어 있거나, 이상한 콤마 또는 파이프로 구분된 포맷으로 되어있다면, XML이 확실히 도움이 될 것이다. 서버 측 컴포넌트로 작업하거나 이를 변경하는 것을 고려하여, XML을 사용하여, XML만큼 강력하지 않은 상용 포맷을 사용하는 것 보다는, 표준 방식으로 응답을 리턴할 수 있다.
아래 내용은 위 출처의 기사의 일부를 복사 후 편집/수정한 것입니다.
단순히 개인적으로 알고자하는 내용만을 남긴 것이니, 자세한 정보는 위의 출처를 참조하세요.
Ajax 애플리케이션에서, 송신 데이터 포맷으로서 XML을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서버에서 XML을 클라이언트로 보내야 하는 이유는 충분하다.
클라이언트는 이름/값 쌍으로 말한다.
클라이언트는 대부분의 경우에 XML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이름값 쌍을 사용하여 요청을 보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이름을 보내게 된다: name=jennifer. 또한 이어지는 이름값 쌍들은 앰퍼샌드(&)를 사용하여 추가할 수 있다: name=jennifer&job=president. 간단한 텍스트와 이러한 이름값 쌍을 사용하면, 클라이언트는 여러 값을 가진 요청을 서버로 쉽게 보낼 수 있다. XML이 제공하는 추가 구조(오버헤드)가 필요 없다.
사실, XML을 서버로 보내야 하는 대부분의 이유들이 다음 두 개의 범주로 나뉠 수 있다.
* 서버는 XML 요청을 수락하기만 한다. 이 경우, 선택권이 없다. 지난 달 기술자료에서, 이러한 유형의 요청들을 보낼 때 필요한 모든 툴을 제공했다.
* XML 요청이나 SOAP 요청만 수락하는 원격 API를 호출할 경우. 이것은 매우 특별한 케이스이지만, 짚고 넘어가야 한다. 비동기식 요청에서 Google이나 Amazon에서 API를 사용할 경우, 특별히 고려해야 할 것이 있다. 다음 달 기술자료에서 API로 요청하는 문제를 예제를 통해 설명하겠다.
서버는 (표준 방식으로) 이름값 쌍을 보낼 수 없다.
서버가 name=jennifer&job=president 스트링으로 애플리케이션에 응답한다면, 클라이언트는 두 개의 이름값 쌍을 나누고, 각 쌍을 이름과 값으로 나눌 표준화 된 쉬운 방법이 없다. 리턴된 데이터를 직접 파싱해야 할 것이다. 서버가 이름값 쌍으로 구성된 응답을 리턴하면, 응답은 세미콜론, 파이프 심볼, 기타 비표준 포맷팅 문자로 구분된 엘리먼트를 가진 응답만큼이나 해석하기 어렵다.
응답에 플레인 텍스트를 사용하고, 적어도 응답에 여러 값이 포함되어 있을 때, 클라이언트가 그 응답을 받아서 표준 방식으로 인터프리팅 해야 하는 쉽지 않은 방식이다. 서버가 넘버 42를 보냈다면, 플레인 텍스트로도 충분하다. 하지만, TV 쇼 Lost, Alias,, Six Degrees,의 최근 시청률을 보냈다면? 여러분은 플레인 텍스트를 사용하여 이 응답을 보낼 많은 방법들을 선택할 수 있지만(Listing 1), 클라이언트에 의한 작업 없이는 쉬운 인터프리팅 방법이 없고, 표준화된 방법도 없다.
싱글 스페이스(single space)!
대부분의 HTTP 요청에서, %20은 싱글 스페이스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Live Together, Die Alone"이라는 텍스트는 Live%20Together,%20Die%20Alone 형태로 HTTP로 보내진다.
이러한 응답 스트링들을 나누는 방법을 알아내는 것이 어려운 일은 아니지만, 클라이언트는 세미콜론, 등가 표시, 파이프, 앰퍼샌드에 따라 스트링을 파싱하고 나누어야 한다. 이는 다른 개발자들이 쉽게 이해하고 관리할 수 있는 강력한 코딩 방법이 아니다.
XML
이름값 쌍으로 서버가 클라이언트에 응답하는 표준 방법이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면, XML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가 분명해진다. 데이터를 서버로 보낼 때, 이름값 쌍은 최상의 선택이다. 서버와 서버 측 언어는 그 쌍들을 쉽게 인터프리팅 할 수 있기 때문에다. 마찬가지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로 리턴할 때 XML을 사용하면 일이 쉬워진다. 이전 기술자료들에서 XML을 파싱할 때 DOM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다루었고, 앞으로의 기술자료에서는 JSON이 XML을 파싱하는 옵션을 어떻게 제공하는지를 설명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여러분은 XML을 플레인 텍스트로서 취급할 수 있고, 이러한 방식으로 값을 얻어낼 수 있다. 따라서, 서버에서 XML 응답을 얻을 수 있는 여러 가지 방식이 있고, 매우 표준적인 방식으로 클라이언트에 있는 데이터를 가져다가 사용할 수 있다.
서버에서 XML 받기
서버에서 오는 XML 응답을 두 가지 기본 방식으로 취급할 수 있다.
* XML로 포맷팅 되는 플레인 텍스트
* DOM Document 객체로 나타나는, XML 문서
XML을 플레인 텍스트로서 처리하기
마치, 서버가 비 XML 응답을 보낼 때처럼, 요청 객체의 responseText 속성을 사용한다
function updatePage() { if (request.readyState == 4) { if (request.status == 200) { var response = request.responseText; // response has the XML response from the server alert(response); } } } |
<ratings><show><title>Alias</title><rating>6.5</rating></show><show><title>Lost</title><rating>14.2</rating></show><show><title>Six Degrees</title><rating>9.1</rating></show></ratings> |
이때, JavaScript split 함수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나누고, 기본 스트링 조작을 통해서 엘리먼트 이름과 값을 얻을 수 있다. 물론, 이것은 엄청난 작업이고, 이전 시리즈에서 다루었던 DOM(Document Object Model)을 보는데 많은 시간을 보내야 한다. DOM을 사용할 수 있다면, 이러한 방식을 사용하여 XML 데이터를 얻어서는 안된다.
XML을 XML로 취급하기
JavaScript와 XMLHttpRequest 객체는 서버의 XML 응답을 완벽하게 얻고 이것을 DOM Document 객체 폼으로 얻을 수 있는 속성을 제공한다.
콜백이 responseXML 속성을 사용한다. XMLHttpRequest에 사용할 수 있는 이 속성은 DOM 문서의 형태로 서버 응답을 리턴한다.
function updatePage() { if (request.readyState == 4) { if (request.status == 200) { var xmlDoc = request.responseXML; // work with xmlDoc using the DOM } } } |
모든 show 엘리먼트 얻기
function updatePage() { if (request.readyState == 4) { if (request.status == 200) { var xmlDoc = request.responseXML; var showElements = xmlDoc.getElementsByTagName("show"); } } } |
모든 show 엘리먼트들을 통해 반복하기
function updatePage() { if (request.readyState == 4) { if (request.status == 200) { var xmlDoc = request.responseXML; var showElements = xmlDoc.getElementsByTagName("show"); for (var x=0; x<showElements.length; x++) { // We know that the first child of show is title, and the second is rating var title = showElements[x].childNodes[0].value; var rating = showElements[x].childNodes[1].value; // Now do whatever you want with the show title and ratings } } } } |
XML을 인터프리팅 하는 기타 옵션
XML을 다루는 한 가지 매우 일반적인 옵션들은, 포맷팅 되지 않은 텍스트로서 취급하는 것 또는 DOM을 사용하는 것 이상으로 중요하다. 이것이 바로 JSON, (JavaScript Object Notation)이고, JavaScript에 포함된 무료 텍스트 포맷이다.
일반적으로, JSON을 사용하여 할 수 있는 모든 것은, DOM을 사용해서도 할 수 있다.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이것은 선호도의 문제이고,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알맞은 방식을 선택하는 문제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XML이 자신의 애플리케이션에 잘 맞는지를 생각하는 것이다. 많은 경우, 애플리케이션이 잘 작동한다면, XML은 그냥 유행어에 지나지 않고, XML을 사용해야 할 것 같은 유혹과 싸워야 한다. 서버가 보내는 데이터가 제한되어 있거나, 이상한 콤마 또는 파이프로 구분된 포맷으로 되어있다면, XML이 확실히 도움이 될 것이다. 서버 측 컴포넌트로 작업하거나 이를 변경하는 것을 고려하여, XML을 사용하여, XML만큼 강력하지 않은 상용 포맷을 사용하는 것 보다는, 표준 방식으로 응답을 리턴할 수 있다.
'프로그래밍 >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터디] Ajax 마스터하기, Part 10: 데이터 전송에 JSON 사용하기 (0) | 2009.02.16 |
---|---|
[스터디] Ajax 마스터하기, Part 9: Google Ajax Search API 사용하기 (0) | 2009.02.16 |
[스터디] Ajax 마스터하기, Part 7: 요청과 응답에 XML 사용하기 (0) | 2009.02.16 |
[스터디] Ajax 마스터하기, Part 6: DOM-기반 웹 애플리케이션 구현하기 (0) | 2009.02.16 |
[스터디] Ajax 마스터하기, Part 5: DOM 다루기 (0) | 2009.02.16 |